ISTAF 육상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STAF 육상 대회는 1921년 베를린에서 시작된 국제 육상 대회로, 1937년부터 올림픽 스타디움을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차 세계 대전 중단 이후, IAAF 골든 4, 골든 리그, 월드 챌린지 서킷 등 국제 육상 시리즈에 편입되면서 권위를 인정받았다. 주요 기록으로는 남자 100m의 요한 블레이크(9.82초)와 여자 100m의 매리언 존스(10.78초) 등이 있으며, 실내 경기인 ISTAF Indoor도 개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ISTAF 육상 대회 | |
---|---|
기본 정보 | |
![]() | |
종목 | 육상 |
종류 | 트랙과 필드 |
IAAF 등급 | B |
시작 | 1937년 |
홈페이지 | ISTAF |
장소 |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 |
시기 | 8월–9월 |
명칭 | |
독일어 | Internationales Stadionfest (ISTAF) |
2. 역사
ISTAF는 1921년 7월 3일 베를리너 스포츠 클럽(BSC), 스포츠 클럽 샬로텐부르크(SCC), Schwimm-Club Poseidon 세 클럽이 공동으로 개최한 스포츠 축제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1937년 3월 23일, BSC, 도이처 스포츠 클럽(DSC, 이후 올림피셔 스포츠 클럽 OSC), SCC가 함께 대회를 개최하기로 합의하며 같은 해 8월 1일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첫 공동 주최 경기를 열었다. 이 경기장은 오늘날까지 ISTAF의 주요 개최지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역사적으로 몇 차례 다른 장소에서 대회가 열리기도 했다. 1938년, 1941년, 1949년, 1953년에는 몸젠슈타디온에서 개최되었고, 2002년과 2003년에는 2006년 FIFA 월드컵 준비를 위한 올림픽 스타디움 재건축으로 인해 프리드리히-루드비히-얀-슈포르트파크에서 열렸다. 이러한 예외를 제외하면 1955년부터는 꾸준히 베를린 샬로텐부르크의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개최되고 있다.
대회는 여러 차례 중단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과 전후 복구 시기(1940년, 1943~48년, 1950~51년)에 열리지 못했으며, 1972년 하계 올림픽 개최와 1972년 뮌헨 올림픽 테러 사건의 여파로 각각 1972년과 1973년에도 대회가 취소되었다.
국제 육상계에서 ISTAF의 위상은 변화를 거듭했다. 1993년부터 1997년까지 IAAF의 IAAF 골든 4 시리즈에 포함되었고, 1998년부터 2009년까지는 IAAF 골든 리그의 일부였다. 다이아몬드 리그가 구상될 때 베를린에서의 개최가 잠정적으로 계획되었지만, 새로운 엘리트 시리즈에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포함되지 못했다. 이에 따라 2010년부터 ISTAF는 한 단계 아래인 월드 챌린지 서킷의 일부가 되었다.[1]
2. 1. 초기 역사 (1921-1937)
1921년 7월 3일, 베를리너 스포츠 클럽(BSC), 스포츠 클럽 샬로텐부르크(SCC), Schwimm-Club Poseidon 세 개의 스포츠 클럽이 공동으로 첫 번째 스포츠 축제를 개최하였다. 이때부터 국제 경기 축제(Internationale Stadionfest), 즉 ISTAF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이후 1937년 3월 23일, BSC, 도이처 스포츠 클럽(DSC, 이후 올림피셔 스포츠 클럽 OSC), SCC는 함께 국제 스포츠 축제를 지속적으로 개최하기로 합의하였다. 이 합의에 따라 1937년 8월 1일,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첫 공동 주최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는 ISTAF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이후 ISTAF는 베를린의 주요 스포츠 행사로 자리 잡게 된다.
2. 2. 올림픽 스타디움 시대 (1937-현재)
1937년 3월 23일, 베를리너 스포츠 클럽(BSC), 도이처 스포츠 클럽(DSC, 이후 올림피셔 스포츠 클럽 OSC), 그리고 스포츠 클럽 샬로텐부르크(SCC)는 ISTAF를 공동으로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이 합의에 따라 1937년 8월 1일,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첫 대회가 열렸으며, 이후 이곳은 ISTAF의 주요 개최 장소가 되었다.그러나 몇 차례 다른 장소에서 대회가 열리기도 했다. 1938년, 1941년, 1949년, 1953년에는 몸젠슈타디온에서 개최되었으며, 2002년과 2003년에는 2006년 FIFA 월드컵 준비를 위한 올림픽 스타디움 재건축 공사로 인해 프리드리히-루드비히-얀-슈포르트파크에서 대회가 열렸다. 이러한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1955년부터는 매년 베를린 샬로텐부르크의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과 전후 복구 시기인 1940년, 1943년부터 1948년까지, 그리고 1950년과 1951년에는 대회가 열리지 못했다. 또한, 1972년 하계 올림픽 개최로 인해 1972년 대회가 취소되었고, 1972년 뮌헨 올림픽 테러 사건의 여파로 1973년 대회도 열리지 않았다.
대회 위상은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1993년부터 1997년까지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의 IAAF 골든 4 시리즈에 포함되었고, 1998년부터 2009년까지는 IAAF 골든 리그의 일부였다. 이후 다이아몬드 리그 출범 당시 베를린 개최가 논의되었으나 기준 미달로 포함되지 못했고, 2010년부터는 한 단계 아래인 월드 챌린지 서킷의 일부로 운영되고 있다.
2. 3. 중단과 재개
ISTAF 대회는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중단되는 아픔을 겪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과 전쟁 직후의 혼란 속에서 대회가 열리지 못한 해들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1940년, 그리고 1943년부터 1948년까지 대회가 중단되었으며,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1950년과 1951년에는 대회가 열리지 못했다.이후에도 대회가 중단된 사례가 있었다. 1972년에는 뮌헨에서 1972년 하계 올림픽이 개최되면서 ISTAF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 또한, 바로 다음 해인 1973년에는 전년도 뮌헨 올림픽 기간 중 발생했던 비극적인 뮌헨 올림픽 참사(테러 공격)의 영향으로 대회가 취소되었다.
2. 4. 국제 육상 시리즈 편입
1993년부터 1997년까지 IAAF는 ISTAF를 골든 4 경기에 포함시켰다. 이후 1998년부터 2009년까지는 IAAF 골든 리그의 일부로 운영되었다. 다이아몬드 리그가 새롭게 구상될 당시, 베를린에서 대회를 개최하는 것이 잠정적으로 계획되었으나, 새로운 엘리트 시리즈에 요구되는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2010년부터 ISTAF는 한 단계 아래인 월드 챌린지 서킷의 일부가 되었다.3. 실내 경기 (ISTAF Indoor)
ISTAF는 1968년까지 몇 년 동안 도이칠란트할레에서 실내 경기로도 개최되었다. 이후 한동안 중단되었다가, 2014년부터 메르세데스 벤츠 아레나(구 O2 월드 베를린)에서 ISTAF 실내 육상 대회라는 이름으로 다시 열리기 시작했다. 이는 오랜만에 베를린에서 열린 대규모 실내 육상 경기였다.
2021년 1월 31일에는 뒤셀도르프의 ISS 돔에서 ISTAF 실내 육상 대회 뒤셀도르프가 개최되었다. 이는 기존의 PSD 뱅크 미팅을 계승하여 더 큰 규모로 열린 행사이다.
4. 주요 기록
ISTAF 육상 대회 역사상 많은 세계 기록이 수립되었다.
연도 | 종목 | 기록 | 선수 | 국적 |
---|---|---|---|---|
1937 | 100 m | 11.6 | 스타니스와바 발라시에비치 | 폴란드 |
80 m 허들 | 11.6 | 바바라 버크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1939 | 3000 m | 8:24.4 | 미클로스 사보 | 헝가리 |
멀리뛰기 | 6.12m | 크리스텔 슐츠 | 독일 | |
1970 | 3000 m 장애물 경주 | 8:22.0 | 케리 오브라이언 | 오스트레일리아 |
1975 | 100 m | 9.9 | 스티브 윌리엄스 | 미국 |
110 m 허들 | 13.0 | 가이 드루 | 프랑스 | |
1977 | 높이뛰기 | 1.97m | 로즈마리 아커만 | 동독 |
높이뛰기 | 2m | 로즈마리 아커만 | 동독 | |
1978 | 1000 m | 2:32.0 | 울리케 분스 | 동독 |
400 m 허들 | 55.44 | 크리스티나 카스페르지크 | 폴란드 | |
1985 | 1500 m | 3:29.46 | 사이드 아우이타 | 모로코 |
1989 | 10000 m | 27:08.23 | 아르투로 바리오스 | 멕시코 |
1990 | 1000 m | 2:30.67 | 크리스틴 바흐텔 | 동독 |
1999 | 2000 m | 4:44.79 | 히샴 엘 게루주 | 모로코 |
2010 | 800 m | 1:41.09 | 데이비드 루디샤 | 케냐 |
2014 | 해머던지기 | 79.58m | 아니타 브워다르치크 | 폴란드 |
2015 | 2000 m 장애물 경주 | 6:02.16 | 버지니아 냠부라 응가응가 | 케냐 |
2017 | 600 m | 1:21.77 | 캐스터 세메냐 | 남아프리카 공화국 |
2019 | 2000 m 장애물 경주 | 5:52.80 | 게사-펠리시타스 크라우제 | 독일 |
2024 | 600 m | 1:21.63 | 메리 모라아 | 케냐 |
종목 | 기록 | 선수 | 국적 | 날짜 | 참고 |
---|---|---|---|---|---|
100 m | 10.78 | 매리언 존스 | 미국 | 2000년 9월 1일 | [14] |
200 m | 21.96 (+0.2 m/s) | 카트린 크라베 | 독일 | 1991년 9월 10일 | |
400 m | 49.07 | 토니크 윌리엄스-달링 | 바하마 | 2004년 9월 12일 | [15] |
600 m | 1:21.63 | 메리 모라아 | 케냐 | 2024년 9월 1일 | [16] |
800 m | 1:54.99 | 파멜라 젤리모 | 케냐 | 2008년 6월 1일 | [17] |
1000 m | 2:30.67 | 크리스틴 바흐텔 | 동독 | 1990년 8월 17일 | |
1500 m | 3:57.40 | 로라 뮤어 | 영국 | 2020년 9월 13일 | [10] |
1마일 | 4:22.45 | 마르타 펜 프레이타스 | 포르투갈 | 2018년 9월 2일 | [18] |
3000 m | 8:46.66 | 나탈리아 아르티오모바 | 소련 | 1989년 8월 18일 | |
5000 m | 14:08.79 | 레테센베트 기데이 | 에티오피아 | 2023년 9월 3일 | [19] |
100 m 허들 | 12.37 (+1.4 m/s) | 요르단카 돈코바 | 불가리아 | 1986년 8월 15일 | |
400 m 허들 | 53.26 | 데온 헤밍스 | 자메이카 | 1997년 8월 26일 | |
2000 m 장애물 경주 | 5:52.80 | 게사-펠리시타스 크라우스 | 독일 | 2019년 9월 1일 | [20] |
3000 m 장애물 경주 | 9:03.70 | 노라 제루토 | 케냐 | 2017년 8월 27일 | [21] |
높이뛰기 | 2.06m | 아리아네 프리드리히 | 독일 | 2009년 6월 14일 | [22] |
장대높이뛰기 | 4.83m | 옐레나 이신바예바 | 러시아 | 2009년 6월 14일 | [23] |
멀리뛰기 | 7.1m | 하이케 드렉슬러 | 독일 | 1992년 9월 16일 | |
세단뛰기 | 14.88m (-0.2 m/s) | 타티야나 레베데바 | 러시아 | 2003년 8월 10일 | [24] |
포환던지기 | 20.98m | 헬레나 피빈게로바 | 체코 | 1984년 8월 17일 | |
원반던지기 | 71.16m | 밸러리 올먼 | 미국 | 2021년 9월 12일 | [25] |
해머던지기 | 79.58m | 아니타 브워다르치크 | 폴란드 | 2014년 8월 31일 | [26] |
창던지기 | 74.56m (구 디자인) | 페트라 펠케 | 동독 | 1985년 8월 23일 | |
70.53m (현행 디자인) | 마리아 아바쿠모바 | 러시아 | 2013년 9월 1일 | [27] | |
4 × 100 m 릴레이 | 41.55 | 팀 USA: 앨리스 브라운 다이앤 윌리엄스 플로렌스 그리피스 조이너 자넷 볼든 | 미국 | 1987년 8월 21일 | |
4 × 100 m 혼성 릴레이 | 40.58 | 케론 스튜어트 알린 베일리 마리오 포사이트 케마르 베일리-콜 | 자메이카 | 2012년 9월 2일 | [28] |
5. 역대 우승자
연도 | 우승자 | 국적 | 기록(초) |
---|---|---|---|
1937 | 게르트 호른베르거 | 나치 독일 | 10.6 |
1938 | 티누스 오젠다르프 | 네덜란드 | 10.5 |
1939 | 카를 네케르만 | 나치 독일 | 10.7 |
1941 | 카를 페르만 | 나치 독일 | 10.8 |
1942 | 티누스 오젠다르프 | 나치 독일 | 10.8 |
1949 | 에른스트 로르센 | 서독 | 10.8 |
1952 | 앤드루 스탠필드 | 미국 | 10.5 |
1953 | 조지 브라운 | 미국 | 10.9 |
1955 | 카를 카우프만 | 서독 | 10.9 |
1956 | 만프레트 슈타인바흐 | 동독 | 10.5 |
1957 | 레몬 킹 | 미국 | 10.4 |
1958 | 아르민 하리 | 서독 | 10.5 |
1959 | 아르민 하리 | 서독 | 10.4 |
1960 | 아르민 하리 | 서독 | 10.2 |
1961 | 만프레트 게르마르 | 서독 | 10.5 |
1962 | 페터 캄퍼 | 서독 | 10.2 |
1963 | 페터 캄퍼 | 서독 | 10.3 |
1964 | 하인츠 슈만 | 서독 | 10.2 |
1965 | 위르겐 슈뢰터 | 서독 | 10.4 |
1966 | 이지마 히데오 | 일본 | 10.1 |
1967 | 카를-페터 슈미트케 | 서독 | 10.3 |
1969 | 귄터 니켈 | 서독 | 10.5 |
1970 | 도널드 쿼리 | 자메이카 | 10.4 |
1971 | 바비 터너 | 미국 | 10.4 |
1974 | 스티브 리딕 | 미국 | 10.2 |
1975 | 스티브 윌리엄스 | 미국 | 9.9 =WR |
1976 | 도널드 쿼리 | 자메이카 | 10.0 |
1977 | 클랜시 에드워즈 | 미국 | 10.37 |
1978 | 스티브 윌리엄스 | 미국 | 10.21 |
1979 | 휴스턴 맥티어 | 미국 | 10.17 |
1980 | 스탠리 플로이드 | 미국 | 10.25 |
1981 | 에르망 판조 | 프랑스 | 10.14 |
1982 | 칼 루이스 | 미국 | 10.08 |
1983 | 칼 루이스 | 미국 | 10.07 |
1984 | 캘빈 스미스 | 미국 | 10.23 |
1985 | 마리안 워닌 | 폴란드 | 10.20 |
1986 | 치디 이모 | 나이지리아 | 10.00 |
1987 | 캘빈 스미스 | 미국 | 10.12 |
1988 | 캘빈 스미스 | 미국 | 10.12 |
1989 | 르로이 버렐 | 미국 | 10.08 |
1990 | 르로이 버렐 | 미국 | 10.17 |
1991 | 르로이 버렐 | 미국 | 10.04 |
1992 | 린퍼드 크리스티 | 영국 | 9.99 |
1993 | 르로이 버렐 | 미국 | 10.12 |
1994 | 데니스 미첼 | 미국 | 10.00 |
1995 | 도노반 베일리 | 캐나다 | 10.10 |
1996 | 데니스 미첼 | 미국 | 10.08 |
1997 | 프랭키 프레데릭스 | 나미비아 | 9.99 |
1998 | 모리스 그린 | 미국 | 9.94 |
1999 | 브루니 서린 | 캐나다 | 10.07 |
2000 | 모리스 그린 | 미국 | 9.86 |
2001 | 프란시스 오비크웰루 | 나이지리아 | 9.98 |
2002 | 드웨인 챔버스 | 영국 | 10.02 |
2003 | 다비스 패튼 | 미국 | 10.17 |
2004 | 개최되지 않음 | ||
2005 | 드와이트 토마스 | 자메이카 | 10.01 |
2006 | 아사파 파월 | 자메이카 | 9.86 |
2007 | 자이수마 사이디 은두레 | 노르웨이 | 10.14 |
2008 | 네스타 카터 | 자메이카 | 10.08 |
2009 | 다니엘 베일리 | 앤티가 바부다 | 10.03 |
2010 | 네스타 카터 | 자메이카 | 9.96 |
2011 | 요한 블레이크 | 자메이카 | 9.82 |
2012 | 케마르 베일리-콜 | 자메이카 | 10.00 |
2013 | 케마르 베일리-콜 | 자메이카 | 10.04 |
2014 | 리처드 톰슨 | 트리니다드 토바고 | 10.15 |
연도 | 우승자 | 국적 | 기록(초) |
---|---|---|---|
1937 | 스타니스와바 바와시비치 | 폴란드 | 11.9 |
1938 | 스타니스와바 바와시비치 | 폴란드 | 11.8 |
1939 | 파니 코엔 | 네덜란드 | 12.0 |
1941 | 개최되지 않음 | ||
1942 | 크리스텔 슐츠 | 나치 독일 | 12.3 |
1949 | 개최되지 않음 | ||
1952 | 파니 블랭커스-코엔 | 네덜란드 | 11.7 |
1953 | 잉그리트 큔 | 서독 | 11.3 |
1955 | 기젤라 쾰러 | 동독 | 12.0 |
1956 | 기젤라 쾰러 | 동독 | 11.5 |
1957 | 브룬힐데 헨드릭스 | 서독 | 11.9 |
1958 | 잉게 푸어만 | 서독 | 11.8 |
1959 | 안니 비히 | 서독 | 11.7 |
1960 | 윌마 루돌프 | 미국 | 11.5 |
1961 | 유타 하이네 | 서독 | 11.7 |
1962 | 요크 비예벨트 | 네덜란드 | 11.7 |
1963 | 유타 하이네 | 서독 | 11.6 |
1964 | 에리카 폴만 | 서독 | 11.5 |
1965 | 모린 트랜터 | 영국 | 11.7 |
1966 | 하넬로레 트라베르트 | 서독 | 11.7 |
1967 | 하넬로레 트라베르트 | 서독 | 11.5 |
1969 | 유타 됵 | 서독 | 11.6 |
1970 | 안넬리 빌덴 | 서독 | 11.6 |
1971 | 엘프가르트 슈텐헬름 | 서독 | 11.4 |
1974 | 이레나 슈체빈스카 | 폴란드 | 11.1 |
1975 | 잉게 헬텐 | 서독 | 11.2 |
1976 | 아네그레트 리히터 | 서독 | 11.24 |
1977 | 엘비라 포세켈 | 서독 | 11.61 |
1978 | 아네그레트 리히터 | 서독 | 11.16 |
1979 | 에블린 애슈퍼드 | 미국 | 11.02 |
1980 | 안젤라 테일러 | 캐나다 | 11.25 |
1981 | 린다 하글룬드 | 스웨덴 | 11.06 |
1982 | 멀린 오티 | 자메이카 | 11.14 |
1983 | 멀린 오티 | 자메이카 | 11.09 |
1984 | 에블린 애슈퍼드 | 미국 | 10.94 |
1985 | 앨리스 브라운 | 미국 | 11.06 |
1986 | 에블린 애슈퍼드 | 미국 | 10.93 |
1987 | 게일 디버스 | 미국 | 10.98 |
1988 | 앨리스 브라운 | 미국 | 11.18 |
1989 | 넬리 피에레-코만 | 네덜란드 | 11.23 |
1990 | 멀린 오티 | 자메이카 | 10.82 |
1991 | 멀린 오티 | 자메이카 | 10.84 |
1992 | 이리나 프리발로바 | 러시아 | 10.93 |
1993 | 멀린 오티 | 자메이카 | 11.01 |
1994 | 개최되지 않음 | ||
1995 | 개최되지 않음 | ||
1996 | 게일 디버스 | 미국 | 10.89 |
1997 | 마리온 존스 | 미국 | 10.81 |
1998 | 마리온 존스 | 미국 | 10.81 |
1999 | 개최되지 않음 | ||
2000 | 마리온 존스 | 미국 | 10.78 |
2001 | 미리암 레오니 마니 | 카메룬 | 11.13 |
2002 | 마리온 존스 | 미국 | 11.01 |
2003 | 켈리 화이트 | 미국 | 10.84 |
2004 | 데비 퍼거슨 | 바하마 | 11.14 |
2005 | 크리스틴 아론 | 프랑스 | 11.01 |
2006 | 셔론 심슨 | 자메이카 | 10.92 |
2007 | 카멜리타 제터 | 미국 | 11.15 |
2008 | 베레나 세일러 | 독일 | 11.53 |
2009 | 케론 스튜어트 | 자메이카 | 11.00 |
2010 | 셔론 심슨 | 자메이카 | 11.09 |
2011 | 켈리-앤 밥티스트 | 트리니다드 토바고 | 11.15 |
2012 | 켈리-앤 밥티스트 | 트리니다드 토바고 | 11.25 |
2013 | 라키샤 로슨 | 미국 | 11.18 |
2014 | 케론 스튜어트 | 자메이카 | 11.25 |
연도 | 우승자 | 국적 | 기록(초) |
---|---|---|---|
1937 | 개최되지 않음 | ||
1938 | 야콥 쇼이링 | 나치 독일 | 21.7 |
1939 | 야콥 쇼이링 | 나치 독일 | 21.2 |
1941 | 개최되지 않음 | ||
1942 | 하랄트 멜레로비츠 | 나치 독일 | 21.5 |
1949 | 한스 히에케 | 서독 | 22.8 |
1952 | 맥도널드 베일리 | 미국 | 20.9 |
1953 | 조지 브라운 | 미국 | 21.9 |
1954 | 발터 시클링 | 서독 | 22.5 |
1955 | 하인츠 퓌터러 | 서독 | 21.4 |
1956 | 마르틴 라우어 | 서독 | 21.6 |
1957 | 레몬 킹 | 미국 | 21.3 |
1958 | 만프레트 게르마르 | 서독 | 21.7 |
1959 | 리비오 베루티 | 이탈리아 | 21.1 |
1960 | 톰 로빈슨 | 바하마 | 21.0 |
1961 | 요하네스 카이저 | 서독 | 21.3 |
1962 | 세라피노 안타오 | 케냐 | 20.8 |
1963 | 세라피노 안타오 | 케냐 | 21.2 |
1964 | 하인츠 슈만 | 서독 | 20.9 |
1965 | 위르겐 슈뢰터 | 서독 | 21.4 |
1966 | 요제프 슈바르츠 | 서독 | 21.0 |
1967 | 요제프 슈바르츠 | 서독 | 21.2 |
1969 | 오시 카르투넨 | 핀란드 | 20.9 |
1970 | 도널드 쿼리 | 자메이카 | 20.4 |
1971 | 하인츠 리네커 | 서독 | 21.3 |
1974 | 도널드 쿼리 | 자메이카 | 20.5 |
1975 | 만프레트 오머 | 서독 | 21.0 |
1976 | 제임스 길크스 | 가이아나 | 20.51 |
1977 | 클랜시 에드워즈 | 미국 | 20.14 |
1978 | 제임스 길크스 | 가이아나 | 20.34 |
1979 | 제임스 길크스 | 가이아나 | 20.44 |
1980 | 프레드 테일러 | 미국 | 20.82 |
1981 | 앨런 웰스 | 영국 | 20.15 |
1982 | 제프리 필립스 | 미국 | 20.40 |
1983 | 멜 라타니 | 미국 | 20.22 |
1984 | 제임스 버틀러 | 미국 | 20.45 |
1985 | 커크 밥티스트 | 미국 | 20.45 |
1986 | 개최되지 않음 | ||
1987 | 칼 루이스 | 미국 | 20.09 |
1988 | 개최되지 않음 | ||
1989 | 호브송 다 실바 | 브라질 | 20.28 |
1990 | 호브송 다 실바 | 브라질 | 20.28 |
1991 | 개최되지 않음 | ||
1992 | 프랭키 프레데릭스 | 나미비아 | 20.01 |
1993 | 개최되지 않음 | ||
1994 | 개최되지 않음 | ||
1995 | 개최되지 않음 | ||
1996 | 프랭키 프레데릭스 | 나미비아 | 19.97 |
1997 | 존 드럼몬드 | 미국 | 20.07 |
1998 | 개최되지 않음 | ||
1999 | 모리스 그린 | 미국 | 20.21 |
2000-03 | 개최되지 않음 | ||
2004 | 아사파 파월 | 자메이카 | 20.24 |
2005 | 크리스토퍼 윌리엄스 | 자메이카 | 20.33 |
2006 | 개최되지 않음 | ||
2007 | 월리스 스피어몬 | 미국 | 20.22 |
2008 | 개최되지 않음 | ||
2009-12 | 개최되지 않음 | ||
2013 | 개최되지 않음 | ||
2014 | 개최되지 않음 |
{| class="wikitable"
|+ 200m, 여자
! 연도 !! 우승자 !! 국적 !! 기록(초)
|-
| 1937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38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39 || 도를레 포이그트 || 나치 독일 || 25.1
|-
| 1941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42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49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52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53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54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55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56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57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58 || 바르바라 야니체프스카 || 폴란드 || 24.2
|-
| 1959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60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61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62 || 브렌다 플레처 || 영국 || 25.2
|-
| 1963 || 헬가 헤닝 || 서독 || 24.4
|-
| 1964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65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66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67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69 || 리타 얀 || 서독 || 23.4
|-
| 1970 || 안넬리 빌덴 || 서독 || 23.8
|-
| 1971 || 앨리스 아넘 || 가나 || 23.2
|-
| 1974 || 이레나 슈체빈스카 || 폴란드 || 22.6
|-
| 1975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76 || 로르나 포르데 || 바베이도스 || 23.95
|-
| 1977 || 재클린 푸시 || 자메이카 || 23.28
|-
| 1978 || 에블린 애슈퍼드 || 미국 || 23.41
|-
| 1979 || 아네그레트 리히터 || 서독 || 22.83
|-
| 1980 || 안젤라 테일러 || 캐나다 || 23.03
|-
| 1981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82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83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84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85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86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87 || 안젤라 테일러-이사옌코 || 캐나다 || 22.55
|-
| 1988 || 그레이스 잭슨 || 자메이카 || 22.70
|-
| 1989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90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91 || 카트린 크라베 || 독일 || 21.96
|-
| 1992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93 || colspan=3 | ''개최되지 않음''
|-
| 1994 || 멀린 오티 || 자메이카 || 22.07
|-
| 1995 ||
참조
[1]
웹사이트
100 Metres Results
http://www.istaf.de/[...]
2011-09-11
[2]
뉴스
Blake dashes 9.82, one of four meet records to celebrate ISTAF's 90th birthday – Berlin Report – IAAF World Challenge
http://www.iaaf.org/[...]
2011-09-11
[3]
웹사이트
800 Metres Results
http://www.istaf.de/[...]
2010-08-22
[4]
웹사이트
Mile Results
http://www.istaf.de/[...]
1997-08-26
[5]
웹사이트
2000 Metres Results
http://www.istaf.de/[...]
1999-09-07
[6]
웹사이트
3000 Metres Results
http://www.istaf.de/[...]
istaf.de
2010-08-22
[7]
웹사이트
ISTAF Race Winners
https://www.arrs.run[...]
arrs.run
2011-07-09
[8]
웹사이트
5000 Metres Results
http://www.istaf.de/[...]
2008-06-01
[9]
뉴스
Merritt sizzles 12.97, Harting wins 33rd straight in Berlin – IAAF World Challenge
http://www.iaaf.org/[...]
IAAF
2012-09-02
[10]
뉴스
Warholm breaks Moses' 40-year-old ISTAF meeting record in Berlin
https://www.worldath[...]
World Athletics
2020-09-13
[11]
웹사이트
3000 Metres Steeplechase Results
http://www.istaf.de/[...]
2011-09-11
[12]
웹사이트
Shot Put Results
http://www.istaf.de/[...]
2011-09-11
[13]
웹사이트
4 x 100 Metres Relay Results
http://www.istaf.de/[...]
2000-09-01
[14]
웹사이트
100 Metres Results
http://www.istaf.de/[...]
istaf.de
2000-09-01
[15]
웹사이트
400 Metres Results
http://www.istaf.de/[...]
2004-09-12
[16]
웹사이트
600m Results
https://ps-cache.web[...]
Omega Timing
2024-09-01
[17]
웹사이트
800 Metres Results
http://www.istaf.de/[...]
2008-06-01
[18]
뉴스
Semenya clocks 2:30.70 in ISTAF 1000m as Harting takes his final bow
https://www.iaaf.org[...]
IAAF
2018-09-02
[19]
웹사이트
5000m Result
https://livecache.sp[...]
2023-09-03
[20]
웹사이트
Krause smashes 2000m steeplechase world best in Berlin
https://www.iaaf.org[...]
2019-09-01
[21]
웹사이트
3000m Steeplechase Results
https://livecache.sp[...]
2017-08-27
[22]
웹사이트
High Jump Results
http://www.istaf.de/[...]
2009-06-14
[23]
웹사이트
Pole Vault Results
http://www.istaf.de/[...]
2009-06-14
[24]
웹사이트
Triple Jump Results
http://www.istaf.de/[...]
2003-08-10
[25]
뉴스
Allman breaks North American discus record in Berlin
https://www.worldath[...]
World Athletics
2021-09-12
[26]
웹사이트
Hammer Throw Results
http://www.live.ista[...]
istaf.de
2014-08-31
[27]
뉴스
Abakumova dominates in Berlin with 70.53m throw – IAAF World Challenge
http://www.iaaf.org/[...]
IAAF
2013-09-01
[28]
뉴스
4x100m Mixed Relay Results
http://www.istaf.de/[...]
2012-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